2025/08/07 2

시니어 UX 설계, 진짜 사용자의 피드백이 중요한 이유

1. 시니어 UX 설계에서 ‘가정’은 위험하다 – 사용성 예측의 한계디자인 과정에서 흔히 범하는 실수 중 하나는 ‘사용자라면 이렇게 행동할 것’이라는 디자이너의 추측에 기반한 UX 설계다. 이는 젊은 사용자 집단에서는 통할 수 있지만, 시니어 세대에게는 전혀 다른 결과를 초래한다. 예를 들어, 시니어는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물리 버튼에 대한 신뢰가 크고, 터치스크린의 감도나 반응 속도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기술 환경에 대한 이해도가 다르기 때문에, 디자이너가 예측한 흐름대로 시니어 사용자가 앱을 탐색하지 않는다. 예컨대 "뒤로가기" 아이콘의 기능을 잘 모르는 경우도 많고, 버튼의 존재 자체를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니어 UX 설계는 경험적 가정이 아닌 실제 사용자의 피..

시니어 UX 2025.08.07

고령화 시대, 정부 서비스 UX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1.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공공서비스 UX의 과제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2025년이면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자가 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이에 따라 행정, 복지, 건강, 금융 등 다양한 정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사용성을 높이는 것이 필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대부분 정부 서비스 UX는 여전히 디지털 전환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빠른 기술 진보와 복잡한 인터페이스가 시니어 세대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특히 정부24,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 홈택스 등 주요 행정 플랫폼은 모바일 화면에서 작은 글씨, 복잡한 인증 절차, 어렵게 배치된 메뉴들로 인해 고령자에게 매우 높은 진입 장벽을 형성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에서..

시니어 UX 2025.08.07